LARCHIVE MALL
라키비움과 쇠퇴한 상업시설의 상호보완적 가치
Architecture & Urban Design, 2025
장희정 / JANG HEE JEONG
온라인 쇼핑의 등장으로 오프라인 상점들의 이용은 줄어들었다. 이제 오프라인 상점은 상품판매 만으로는 매장을 유지하기 힘들다. 현대인들은 오프라인에서 물건을 구입하기보다 경험을 소비하는 경향이 높아졌다. 문화를 소비하고, 특별한 경험을 판매하는 공간의 가치가 높아졌다. 트렌드의 변화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들은 상품과 함께 문화를 소비하고, 경험을 판매하는 공간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트렌드에 맞추어 변화하기 어려운 기존 오프라인 매장들은 소비자를 유입시키기 어려워 더욱 쇠퇴하게 되었다.
도서관은 대표적인 공공시설로 작용한다. 그러나 도심지 내 접근성이 좋은 부지는 비싼 지가 때문에 대규모 공간이 필요한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은 도심지 외곽의 접근성이 좋지 않은 공간에 위치해있다. 이로인해 도서관은 공공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접근하기 어려워 도서관의 이용률은 낮아진다. 따라서 도서관이 도심지에 위치하여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나는 쇠퇴한 도심지 내의 오프라인 상업시설과 공공도서관의 결합을 통해 두 시설이 가진 문제점을 상호보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