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 HOUSE
산불과 건축의 새로운 역할
Architecture & Urban Design, 2024
김윤기 / KIM YUNGI
재해(산불)상황에 대응하는 건축의 새로운 역할
최근 발생되는 산불은 과거에 그랬던 것 보다 오래 지속되며, 더 강렬하게 불타오르고 있다. 불길속에서 파괴되는 생태계는 걷잡을 수 없이 전세계로 확장되고 있으며, 그들에게 주어진 회복할 시간은 없다.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평균기온과 망가져가는 지구 생태시스템은 이러한 상황을 더욱 악화시킨다.
“우리는 재해 앞에서 어떤 행동을 취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산불을 막을 수 있을까요?”
위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졌을 때,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음을 느꼈다.
저는 현재 발생하고 있는 산불의 발생 원리와 패턴을 이해하고자 했고, 주요 대응방식에 대해 관련 논문과 소방자료를 검토했다. 산불의 대응하기 위해 적절한 대상지를 찾고자 전세계의 주요 생태중심지를 기점으로 잠재력을 검토했으며, 이 과정에서 미국 워싱턴주에 위치한 ‘Teanaway Forest’를 대상지로 선정하게 되었다.
그리고, 생태계를 구성하는 나무의 종과 동물, 주요 서식지 분포와, 지형 등 다각적으로 대상지를 분석했으며, 이러한 분석자료를 바탕으로 방화선 시스템(Firebreak)을 구축했다. 그리고 방화선상의 일부 지점(Anchor Point)들을, 소방관들을 위한 안전지대로 설정해, 재해상황 발생시 지원가능한 거점으로 구축했다. 그리고 이 거점들을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다른 연계 프로그램과 결합시켰다.
연계되는 프로그램은 Anchor Point의 지리적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생태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주요 시설,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주요 관광자원으로 활용된다.
위 일련의 분석과 구축 과정들이, 미래의 삼림 생태계를 존중하고 재해에 대응하는 프로토타입으로서 기능하길 기대한다.